한반도 기와 가운데 으뜸 - 신라의 미소 '얼굴무늬수막새' 기와가 지닌 의미와 신라의 기와 기와는 지붕을 덮는데 사용하는 건축 재료로, 중국의 서주(西周)시대부터 제작되었다. 고대 한반도는 중국으로부터 건축 기술과 기와 등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였다. 기와는 시대나 지역, 국가의 기호에 따라 독창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였다. 이러한 기.. 안동, 안동 문화 2016.10.18
하늘을 두드려라 - 비를 바라는 기우제와 비가 그치기를 바라는 기청제 비요, 비요! 배고픔을 이겨내기 위한 생존의식 가뭄이 든 해, 농민들은 두레로 둠벙이(웅덩이, 충청도 방언)에 고인 물을 품어 올리고, 조그마한 샘의 물을 퍼 나르는 일에 매달렸다. 다른 작물보다 물이 많이 필요한 벼농사의 경우, 농민들은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절박한 마음으로 여러 .. 안동, 안동 문화 2016.10.05
UNESCO 세계기록유산 전시 UNESCO 세계기록유산|――······· 서예 서화작품 UNESCO 세계기록유산 전시 ‘2016 世界記錄總會’가 세계 각국에서 기록관리 전문가와 정책담당자, 관련산업 인사 등이 9월 5일부터 10일까지 서울 三成洞 KOEX에서 열렸다. 1950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첫 총회를 시작으로 4년마다 각.. 안동, 안동 문화 2016.09.22
상상을 펼치다 - 신화 속에서 만나는 상상의 동물 천상세계 상상의 동물 ‘비익조 & 삼족오’ 비익조(比翼鳥)는 문헌마다 차이점이 있지만 공통으로 ‘눈과 날개가 각각 하나씩밖에 없는 새’로 묘사되며, 중국에서는 이 새가 나타나는 것을 상서로운 일이 일어날 징조로 여겼다. 이 새는 반드시 암수 두 마리가 짝을 지어야 날 수 있는데.. 안동, 안동 문화 2016.08.30
♣ 혼인식(婚姻式)과 결혼식(結婚式)의 차이 ♣ ♣ 혼인식(婚姻式)과 결혼식(結婚式)의 차이 ♣ 1. 혼례의 의미 옛날에는 남자와 여자가 짝을 지어 부부가 되는 일은 양(陽 ? +)과 음(陰 ? -)이 만나는 것이므로 그 의식의 시간도 양인 낮과 음인 밤이 만나는 날이 저무는 시간에 거행했기에 날저물 혼(昏)자를 써서 혼례라 했다. 혼례식 사.. 안동, 안동 문화 2016.07.14
경종을 울리다 - 한국 선비정신의 문화유산 '상소문' 막힌 언로를 열다 ‘상소문’ 상소문의 문체는 어떻게 출발하였을까? 원시 국가가 형성되면서 부터 인간은 정치를 떠나서 살 수 없었고 황제와 제후, 재상과 신하가 있게 되면서 보고와 찬양을 위한 위대한 문장도 있게 되었다. 중국 고전문학의 대표적인 비평서인 유협의 『문심조룡(文.. 안동, 안동 문화 2016.05.24
퇴계 이황선생의 아내 사랑 퇴계 이황선생의 아내 사랑 대 학자 퇴계 이황은 일반의 생각과 달리 인간적인 면모가 많았던 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퇴계 이황은 결혼 7년 만에 첫째 부인을 산고로 잃고, 두 번째 부인을 들였는데 좀 “철없는” 부인이었습니다. 그러나 퇴계의 아내를 향한 사랑은 그지없었습니다. 첫.. 안동, 안동 문화 2016.05.16
민족시인 이육사, 그 저항의 삶과 문학을 대구에 새기다 민족시인 이육사, 그 저항의 삶과 문학을 대구에 새기다 대구 '264작은문학관' 10일 개관... 청년기 대구에서 수감ㆍ기자생활 등 독립운동 펼쳐 2016년 05월 10일 (화) 17:04:47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pnnews@pn.or.kr ▲ 아버지 이육사 선생의 초상화를 어루만지는 이옥비(75)씨(2016.5.10. 264작은문.. 안동, 안동 문화 2016.05.11
풍자를 새기다 - 웃음으로 꼬집는 풍자, 신이 내려 살아나는 탈 정초에 부산의 수영 사람들은 정갈한 곳에서 만든 10여 개의 탈을 나열하고 간단한 제물을 차린 뒤 ‘탈제’라는 고사를 올린다. 탈제를 지내고 나면 바가지로 만든 물건에 지나지 않던 탈이 놀이의 신이 내려 신성한 것이 된다. 고사를 지낸 탈을 쓴 사람이 놀이마.. 안동, 안동 문화 2016.04.07
알기 쉬운 명절 차례와 제사 우리나라는 설, 한식날, 단오절, 추석 등을 4대 명절로 꼽았고 그 외에 중구·동지 등의 명절에도 차례를 올렸지만, 현재는 설과 추석이 대표적입니다.‘명절 차례는 기제사의 축소판으로 보면 됩니다. 차례는 차(茶)를 올리면서 드리는 예(禮)라는 뜻입니다.예전에는 제수중에서 가장 중.. 안동, 안동 문화 2016.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