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인간의 결합, 그 속에 피어난 정원 늙지도 죽지도 않는 삶, 자연과 하나 되다 정원은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만들었을까? 과거 우리 선조들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영원히 늙지 않고 죽지 않도록 불로불사(不老不死)를 꿈꾸는 신선정원을 만들고, 경치가 빼어나게 아름다운 곳을 택해서 세속을 멀리하고, 자연 속에 묻혀.. 안동, 안동 문화 2014.05.20
산수가 빚은 충절의 고을, 경북 봉화 봉화의 수려한 산수와 선비 정신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자연을 대신하는 말로 산수(山水)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그러나 산수는 스스로 드러날 수 없고 사람으로 인해 이름을 얻고 그 아름다운 이름이 드러나는 법이다. 그 영검이 있는 산수의 대지에서 걸출한 인물이 태어나고 .. 안동, 안동 문화 2014.04.29
최초의 한글 요리서, 장계향의 음식디미방을 아시나요? 최초의 한글 요리서, 장계향의 음식디미방을 아시나요? 조회 436 --> http://blog.chosun.com/yslee0907/7384101 음식디미방(음식지미방 飮食知味方)은 약 340년 전에 쓰여진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조리서다. 경북 영양군 두들마을에 터를 닦은 석계 이시명 선생의 아내이자 여성군자로 불렸던 장계향 .. 안동, 안동 문화 2014.04.24
특별한 결혼을 꿈꾸시나요? 결혼의 변화, 결혼식의 변화 동서양을 불문하고 결혼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평생을 의지하며 살아갈 반려자를 맞이하는 결혼은 개인의 성취적 삶을 전개해 나아가는 정점이 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통혼례 과정에서 볼 수 있는 기러기, 솔가지, 표주박, 삼서(三誓)정신.. 안동, 안동 문화 2014.04.22
농민이 된 신부 정호경 - 정호경 신부를 다시 만나다 농민이 된 신부 정호경 - 정호경 신부를 다시 만나다 우리시대, 귀감을 얻다 멘토가 유행하기 전, 존경하고 따르는 사람을 일컫는 말은 스승이나 귀감이었다. 귀감(龜鑑)이란 말은 어려운 한자어 때문이기도 하지만, 귀감이 될 만한 인물이나 행동이 찾기 어려워진 탓에 쓰임도 줄었을 것.. 안동, 안동 문화 2014.01.28
공자학원의 현황과 미래 많은 나라에서 자국의 언어와 문화를 외국인들에게 알리는 교육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중국도 일찌감치 ‘공자학원孔子學院’을 세우고 중국의 문화와 언어를 전파하고 있다. 공자학원은 중국 교육부가 세계 각 나라의 대학과 교류해 세운 교육 기관이다. 이번 시간에는 공자학원에 대.. 안동, 안동 문화 2013.11.20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조회 54 --> http://blog.chosun.com/shwpa77/7180131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자주 보는 친구들끼리 밥을 먹다 모처럼 바람도 쐬고 스트레스도 풀 겸 일박 이일로 어딜 좀 갔다 오자고 하고도 벌서 얼마가 지났지만 이게 걸리고 저게 걸려 날짜 하나 마음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가 어.. 안동, 안동 문화 2013.10.30
한지 - 보일듯말듯한 반투명의 미학' 한지의 인기 이미 한지는 그 미학적, 과학적 우수성을 인정받아 한지를 사랑하는 마니아계층이 국내뿐만 아니라 널리 국외에서도 점점 확산되는 추세에있다. 한지의 결은 어머니의 품 속처럼 포근하고 정감이 느껴진다. 이는 필시 예로부터 우리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고 가까이 .. 안동, 안동 문화 2013.07.16
영주 무섬마을 (1) - S라인 외나무다리, 영주 무섬마을 (2) - 시간이 정지된 고풍스런 마을 영주 무섬마을 (1) - S라인 외나무다리 조회 108 --> http://blog.chosun.com/rhodeus/7008063 상주의 황금산에서 야생화 탐사를 끝내고, 예천으로 이동하여 맛있는 육회와 전골로 점심식사를 했다. 그리고 영주의 무섬마을에 들렸다. 소백산에서 발원한 서천(西川)과 태백산에서 발원한 내성천(乃城川).. 안동, 안동 문화 2013.06.12
전통문화가 소통되는 순간, 그 순간을 굼꾼다 생동감 있는 전통문화축제 일탈을 꿈꾸는 사람들, 삶의 활력이 필요한 사람들, 신나는 무언가를 찾는 사람들, 아이들을 위해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한 번씩 눈여겨보는 것은 지역축제이다. 작년 가을, 안동에서 열흘 동안 매일 10만명이 넘는 사람들을 집중시켰던 축제가 열렸다. 탈.. 안동, 안동 문화 201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