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경 신부님의 생애 정호경 신부님의 생애 경북 봉화에서 정호경 신부. 사진 조현 기자 권정생의 동화 <비나리 달이네 집>의 주인공인 천주교 안동교구 원로사목자 정호경(사진·루도비코) 신부가 지난 4월 27 저녁 7시46분 숙환인 폐섬유화증으로 선종하셨습니다. “고맙다”는 마지막 말씀을 남기고 일.. 안동, 안동 문화 2015.12.08
국립박물관 명품 100선 국립박물관 명품 100선 국립박물관 명품 100선이 CD롬으로 나왔다. 문화산업과 예술진흥을 위해 10여 곳의 국립박물관 소장 문화재를 활용하여 만든 이 시디롬은 교육, 보도, 학술 분야 등의 비영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2천부를 제작하여 무료 배포한 것이다. 명품 100선은 지정문화재.. 안동, 안동 문화 2015.11.27
우리 민족의 심성에 담겨있는 은근과 끈기 은근과 끈기의 민족 우리는 은근과 끈기의 민족이다. “‘은근’이 한국의 미요, ‘끈기’가 한국의 힘”이라는 것을 국문학적 관점에서 밝힌 조윤제 선생의 말과 같이, 우리가 은근과 끈기의 민족이라는 것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별의 아픔을 울며불며 애원하지 않고, “날.. 안동, 안동 문화 2015.11.18
우리 민족의 심성에 담겨있는 은근과 끈기 은근과 끈기의 민족 우리는 은근과 끈기의 민족이다. “‘은근’이 한국의 미요, ‘끈기’가 한국의 힘”이라는 것을 국문학적 관점에서 밝힌 조윤제 선생의 말과 같이, 우리가 은근과 끈기의 민족이라는 것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별의 아픔을 울며불며 애원하지 않고, “날.. 안동, 안동 문화 2015.11.03
의리를 따르는 절개 끝까지 지켜내기 힘들기에 더욱 고귀한 마음 사람답게 사는 품격으로는 여러가지 덕목이 있다. 예를 들면 평상시에 남들과 어울려 살아갈 때는 친절과 화합, 예의바름과 너그러움 등이 중요한 덕목일 것이다. 그러나 곤궁하거나 위급한 처지에 놓였을 때는 평소 가슴 속 깊이 간직했던 .. 안동, 안동 문화 2015.10.08
가훈 자료 108가지 가훈 자료 108가지 01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되어 나간다 02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끝에 낙이 온다는 말 03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04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행동을 한다 05 公生明 (공생명) 공평하면 판단을 .. 안동, 안동 문화 2015.10.07
풍속화에 담긴 소탈함의 미학 서민 풍속화의 서막을 열다 조선 후기의 서민 풍속화는 의외로 사대부 화가가 그 서막을 열었다. 잘 알려진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서민의 존재를 당당히 그림 안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풍속화를 선도하였다. 그의 대표작인 <짚신삼기>를 보자. 맨 상투를 튼 서민 남성이 나무 그늘 .. 안동, 안동 문화 2015.09.15
한국의 전통사상과 문화에 담긴 소탈함 소탈함이란 무엇인가? 소탈함은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적 측면에서 어떤 함의를 담고 있을까? 소탈하다는 것은 인위적으로 꾸미지 아니하고 수수하고 질박하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겉모습을 포장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가공하지 않고, 내면에 담겨 있는 본질 그대로의 순수를 추구함으.. 안동, 안동 문화 2015.09.10
전통 사상 속 공감과 배려 타고난 공감과 배려 먼저 유가에서는 인간의 공감능력과 그에 따른 배려를 인간의 타고난 본성으로 여겼다. 타고난 공감능력과 배려정신은 바로 인仁을 말한다. 『 맹자孟子』에서는 이를 ‘측은지심惻隱之心’을 통해 설명한다. 만약 지금 우리 눈앞에서 한 어린아이가 우물에 막 빠지.. 안동, 안동 문화 2015.08.06
퇴계 선생 며느리 개가하다. 퇴계 선생 며느리 개가하다 퇴계선생의 맏아들이 21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한창 젊은 나이의 맏며느리는 자식도 없는 과부가 되였다. 퇴계 선생은 홀로된 며느리가 걱정이 였습니다. '남편도 자식도 없는 젊은 며느리가 어떻게 긴 세월을 홀로 보낼까?' 그리고 혹여 무슨 일이 .. 안동, 안동 문화 2015.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