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회마을과 병산서원
자주 보는 친구들끼리 밥을 먹다 모처럼 바람도 쐬고 스트레스도 풀 겸 일박 이일로 어딜 좀 갔다 오자고 하고도 벌서 얼마가 지났지만 이게 걸리고 저게 걸려 날짜 하나 마음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가 어느 날 식기 전에 이것저것 따지지 말고 내일 당장이라도 떠날 수 있는 자들만이라도 가자고 해서 몇이서 차를 몰고 가게 된 곳이 처음의 행선지로 경북 안동지방이 되었다.
요즘 거의 매일 같이 신문에는 설악산 단풍이 어떻고 또 어딜 가면 뭐가 좋다는 식으로 보여주고 있지만 그보다 우린 우리의 문화유산이 숨 쉬고 있는 곳으로 방향을 잡자고 한 것이 바로 이곳이다. 안동지방에는 하회마을을 비롯하여 주위에 부석사며 소수서원 등 비록 한 번 이상은 오다가다 들려보기도 했지만 다시 보아도 심심치(?) 않을 곳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과연 가는 곳마다 심심하기는커녕 기대하던 이상으로 모두 새롭고 소중하게만 느껴진다. 거기다 이제 막 들기 시작하는 단풍으로 눈과 마음까지 업 시켜준다. 처음 방문하는 병산서원은 600년 세월의 고풍스런 모습에다 병풍처럼 둘러쳐진 절벽을 끼고 흐르는 낙동강과 어우러져 과히 절경이다. 우리의 문화유산은 이렇게 찾는 사람에게 맘껏 아름다운 모습을 자랑하는가 싶었다.
![꾸미기2143.JPG 꾸미기214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2840_4e7da4c3a0b6c3b0e3824d9631243a0e.jpg)
하회(河回)마을이란 낙동강이 안내도에서 보듯이 마을을 감싸 안고 흐른다 해서 유래된 이름이다.
![꾸미기2089.JPG 꾸미기2089.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100_484f9386bb83012aefa0b938023550a3.jpg)
북방길로 따라가본다. 오른 쪽에는 낙동강이 흐르고 왼 쪽으론 초가와 와가 마을이 함께 보인다,
![꾸미기2087.JPG 꾸미기2087.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042_057c641cc27c8dc7306214906b41374c.jpg)
![꾸미기2075.JPG 꾸미기2075.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146_e6b5b2df915cb3ced3d32d9efe7d3a19.jpg)
입구 안내소 옆에는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 방문 기념 전시관이 있다.
![꾸미기2076.JPG 꾸미기2076.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154_861aff93f4bc64dfc7f4fb46cd901961.jpg)
![꾸미기2080.JPG 꾸미기2080.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204_16c8119125fe999a41d8a48589917588.jpg)
![꾸미기2097.JPG 꾸미기2097.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222_5202ff11a8bb38421a01338da217279e.jpg)
마을 안에선 단체 외국인 관광객이 인솔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꾸미기2100.JPG 꾸미기2100.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237_255e0f416c6161d38b9323f1801d0c54.jpg)
이 마을은 풍산 류씨가 600여 년간 대대로 살아온 한국의 대표적인 동성(同姓)마을이며 오랜 세월
속에서도 잘 보존된 곳이다.
![꾸미기2101.JPG 꾸미기210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249_1c161f883ba41b686188fcd2576cdc76.jpg)
조선시대 유학자인 영의정 서애 유성룡이 죽은 후 그를 흠모하던 유림들이 지은 집이다.
![꾸미기2104.JPG 꾸미기2104.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101225_76d52ea1cc9bb870aa15757243026f0d.jpg)
![꾸미기2111.JPG 꾸미기211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101240_89e6d00eb39930e0a4134059d0a37a1c.jpg)
![꾸미기2114.JPG 꾸미기2114.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301_928928ff8e3c34b5006faaa0e21bf1f3.jpg)
![꾸미기2116.JPG 꾸미기2116.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314_5a62ca9a1a640d7974140ebe364a1597.jpg)
![꾸미기2122.JPG 꾸미기2122.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326_e6f3a679c25ce7fa0dcbcbdc76596c2a.jpg)
![꾸미기2117.JPG 꾸미기2117.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101331_6f5b8e30cf8d4fe461bfc0016750a445.jpg)
![꾸미기2123.JPG 꾸미기212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338_32385427596c867b3fd57889af356444.jpg)
![꾸미기2128.JPG 꾸미기2128.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356_cd0fabab73d08f54f5cfe9a1d00e0c06.jpg)
![꾸미기2133.JPG 꾸미기213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407_f71aa1da80e1a8a78ea0a54270e2d218.jpg)
![꾸미기2053.JPG 꾸미기205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609_d72717fe1eb6fe47d067ef25d367f2ff.jpg)
안동 하회마을에는 세계탈박물관이 있다. 그리고 여기선 매일 관광객들을 위한 탈춤을 벌린다.
![꾸미기2056.JPG 꾸미기2056.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617_89d7e702b05e9d92d3a503cf3fd6b12f.jpg)
![꾸미기2040.JPG 꾸미기2040.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736_2e0d2f295c59f49d2ff0cc90e3950c83.jpg)
병산서원은 하회마을과 걷는 길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앞에서 본 모습이다.
![꾸미기2003.JPG 꾸미기200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751_dd5cf66be92f024e4da54673f197a290.jpg)
![꾸미기2005.JPG 꾸미기2005.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802_e98736a610e75624f9bc1f1a76758451.jpg)
2005년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부인 바바라 여사와 함께 이곳 병산서원을 방문하여 기념으로
식수했다.
![꾸미기2007.JPG 꾸미기2007.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830_5c23eb899b9318e247ddd02b5b0fcd2b.jpg)
![꾸미기2021.JPG 꾸미기202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101710_a59fad9f5e6f75b1091bd3c6f105ffbb.jpg)
![꾸미기2011.JPG 꾸미기201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910_fb3a1bfe963c76a045dd2479d26ef3d4.jpg)
![꾸미기2019.JPG 꾸미기2019.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929_41c7d58b290145c69eb51b3d07ce3787.jpg)
![꾸미기2027.JPG 꾸미기2027.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3942_7bdb0cd4e67c26dbce410e29093329fd.jpg)
![꾸미기2035.JPG 꾸미기2035.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4012_ce8d5cadca7f01aebef63f94ba4bfb98.jpg)
![꾸미기2036.JPG 꾸미기2036.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13/24713/10/20131030_084021_41c34ac856f9034e6faa5ddf5720753f.jpg)
서원에서 내려다 보이는 병풍 같이 늘어선 암벽을 끼고 흐르는 강이 낙동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