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천상세계 상상의 동물 ‘비익조 & 삼족오’ 비익조(比翼鳥)는 문헌마다 차이점이 있지만 공통으로 ‘눈과 날개가 각각 하나씩밖에 없는 새’로 묘사되며, 중국에서는 이 새가 나타나는 것을 상서로운 일이 일어날 징조로 여겼다. 이 새는 반드시 암수 두 마리가 짝을 지어야 날 수 있는데, 밥을 먹을 때도 항상 붙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연리지(連理枝), 비목어(比目魚)와 함께 애정, 사랑, 그리움, 애틋함, 금슬 등을 상징하며 부부사이의 아름다운 사랑을 의미한다.
또 삼족오(三足烏)는 세 개의 발에 검은 까마귀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전해지는데, 새 발이 셋인 이유는 하늘의 상징인 주역(周易)의 건괘(乾卦) 三자에서 연유됐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삼족오는 태양에 살고 있어 태양을 상징하는 새로 알려져 있는데, 신들이 태양의 후예라는 인식을 하고 있던 고구려에서는 원형의 태양 안에 들어있는 삼족오를 자신들의 상징으로 삼았다고 한다.
땅 위를 달리는 상상의 동물 ‘불가사리 & 기린 & 백호’ 불가사리는 우리 설화 속에 등장하는 친근한 이름의 상상 속 동물이다. 중국의 「산해경(山海經)」에는 ‘곰과 비슷하나 털은 짧고 광택이 나며 뱀과 동철(銅鐵, 쇠)을 먹고, 사자머리에 코끼리 코, 소의 꼬리를 가졌으며 흑백으로 얼룩무늬가 있다. 쇠를 먹는데 똥으로는 옥석(玉石)을 자를 수 있으며, 그 가죽을 덮고 자면 역병을 피할 수 있고, 그림을 그려 걸어두면 액운을 피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불가사리는 네 가지 동물이 합쳐진 상상의 동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그림에서 볼 수 있다.
기린(麒麟)은 상서로운 길조가 보일 때 나타난다는 신령스러운 네가지 동물 중 하나로, 특히 성인이나 성군이 태어날 때 미리 그 조짐을 알리기 위해 나타난다고 전해진다. 기린은 이마에 뿔이 하나 돋아 있고 사슴의 몸에 소의 꼬리, 말과 같은 발굽과 갈기를 지니고 있으며, 다섯 가지의 몸 색깔을 가진 동물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기린은 다른 짐승들을 해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어진 성품을 상징하는 동물로, 유교에서는 기린을 공자(孔子)에 빗대어 표현하며 덕(德)과 인(仁)의 상징으로 여겼다. 기린 역시 상상의 동물이기 때문에 그림에서나 형상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 문화 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백호(白虎)는 호랑이에 바탕을 둔 상상의 동물로 청룡, 주작, 현무와 함께 사신(四神)을 이루어 신격화되었다. 지금은 털이 흰 호랑이를 백호라 부르지만 본래 백호는 동양권의 신화나 설화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을 의미한다. 고구려 고분벽화 사신도(四神圖) 가운데 백호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용과 달리 머리에 뿔이 없고 몸에는 비늘 대신 호반(虎斑, 호랑이 등에 있는 무늬)이 묘사된다. 상상의 동물인 백호의 영험함과 신성함은 용과 함께 불법(佛法) 수호신으로서 크게 영향을 미쳤다. 현재 백호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사찰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불교의 교리를 쉽게 함축한 불화(佛畵)나 수미단(須彌壇) 등에도 등장한다. 또한, 산신도의 호랑이 역시 백호로 표현하여 그 신성함을 더욱 강조하였다. 신당에 모셔지고 있는 산신도를 보면 대개 그 배경으로 산과 소나무가 있으며, 노인의 형상으로 그려진 산신과 함께 호랑이가 나온다. 여기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포효하는 호랑이가 아니라 인자하고 다정한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산신령의 사자(使者)로 상징되기도 하고 호랑이 자체를 산신, 산군(山君)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호랑이에 바탕을 둔 또 다른 상상의 동물로 비호(飛虎)가 있다. 비호는 보통 나는 듯이 빠르게 달리는 호랑이를 말하는데 흔히 ‘비호같이 빠르다’는 말에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그림 속에 등장하는 비호는 단순히 빨리 달리는 모습이 아닌 ‘비(飛)’, 즉 진짜 날수 있도록 날개가 달린 호랑이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는 비호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상상력이 발휘됐던 것으로 보인다.
물속을 휘젓는 상상의 동물 ‘하동 & 목어’ 하동(河童)은 물속에 산다는 상상의 동물로,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에서는 갓파라고 부르는데 원래 중국의 황하강에서 살던 동물로, 이들 중 일부가 바다를 건너 일본에 도착한 후 번식하였다고 한다. 갓파의 모습은 열 살 정도 된 어린아이의 몸집에 얼굴은 원숭이를 닮았으며, 물고기 비늘로 덮인 피부와 거북의 등 껍질을 가진 동물로 묘사된다. 머리 위 구멍에는 물이 들어있으며 이 물이 없어지면 힘 또한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물을 없애는 방법으로 갓파에게 깍듯하게 인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갓파는 예의 바른 동물이기 때문에 인사를 하면 반드시 답례로 절을 하기 때문이라고.
또 다른 물속에 사는 상상의 동물로는 목어(木魚)가 있다. 목어는 원래 중국의 설화에서 기인한 동물이다. 중국의 고승이 가르치던 제자가 공부를 게을리하고 장난을 일삼는 것에 대한 벌로 그를 물고기로 만든 후 그 등에 큰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나중에 참회하는 제자를 해탈시켜 주고, 그 제자의 등에 있던 나무로 물고기 형상을 만들어 불도를 정진하는 사람들의 경계로 삼았는데, 이때 물고기가 바로 목어이다. 그 후 사찰에서는 목어를 설치해 항상 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처럼 정신을 깨워 불도(佛道)에 정진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글+사진‧윤열수(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교수·가회박물관 관장) |
이전글 | 여섯 디딤 속, 그윽한 하늘 향기 ‘나비춤’ |
---|---|
다음글 | 자유정신과 탈격의 미학 ‘산조’ |
'안동, 안동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을 두드려라 - 비를 바라는 기우제와 비가 그치기를 바라는 기청제 (0) | 2016.10.05 |
---|---|
UNESCO 세계기록유산 전시 (0) | 2016.09.22 |
♣ 혼인식(婚姻式)과 결혼식(結婚式)의 차이 ♣ (0) | 2016.07.14 |
경종을 울리다 - 한국 선비정신의 문화유산 '상소문' (0) | 2016.05.24 |
퇴계 이황선생의 아내 사랑 (0) | 2016.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