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못 위의 정저, 하엽정(荷葉亭) 조선시대 사대부 주택의 전형인 달성 삼가헌의 별당마당에는 네모난 연못과 그 속에 둥근 섬이 있다. 형태는 단순하지만 하늘과 땅, 음과 양의 철학적 의미로 해석되는 조선시대 고유의 정원지당 양식이다. 그리고 그 위에‘연꽃잎 정자’가 떠 있다.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마을은 사.. 집짓기 2013.08.19
짝을 이루어 조형미를 갖춘 평상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보이는 평상 생활 풍속이 그려진 고구려 고분 벽화를 살펴보면, 고구려 왕족이나 귀족들은 입식立式생활을 했음을알수있다. 4세기 중엽에 축조된 안악3호분의 주인공은 중국의 망명자였던 동수冬壽라는 설과 미천왕이나 고국원왕 같은 고구려 왕이라는 설로 나뉘.. 집짓기 2013.08.19
화합과 절식의 전통음식 생채 고려시대부터 즐겨 먹기 시작한 생채음식 우리 식食문화에서 채소나 나물을 식재료로 지금과 같은 생채음식이나 쌈음식류를 발달시킨 장본인은 고려 사람들이다. 고려 초기, 태조 왕건이 불교를 통해 민심을 수습하고, 왕실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했던 숭불崇佛정책으로 살생殺.. 집짓기 2013.08.19
그렝이질에 담긴 전통 장인들의 조영기법 다양한 부재들의 결합체 전통목조건축물 건물을 구성하는 부재는 놓이는 위치에 따라 수평·수직·사장재 등으로 나뉘며, 특히 수평재와 수직재는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부재는 종방향과 횡방향,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맞춤과 이음 등 다양한 연결방법.. 집짓기 2013.07.16
한옥의 지붕은 산과 물의 흐름을 닮았다 한옥의 아름다움, 선 지금 우리가 살고 있고, 앞으로도 우리가 살아가야 할 한옥에 담긴 정신이 바로 한국인의 정서로 한국인만의‘결’을 담고 있다. 바람결, 물결 하는 그 ‘결’이다. 한옥에서 아름다움을 마무리해주는 곳이 지붕이다. 지붕은 한국인의 마음의 모양을 닮고 있다. 마음.. 집짓기 2013.06.04
자연과 소통을 기본으로 하는 우리 선조의 공간 감각 바람을 벗 삼아, 햇빛을 벗 삼아 현대에 사는 우리는 전통 한옥의 아름다움과 그 건물 주인의 생활철학을 느끼는데 한계를 느끼곤 했다. 하지만 동호정(東湖亭,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은 다르다. 동호정은 주변 수목과의 어울림을 강조한 정자이다. 또한 군자정은(경상남도 문화재.. 집짓기 2012.05.22
전통건축물의 건립시기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상량문과 건축 양식 특징을 통한 건립 시기 파악 건축물의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건립일 등을 기록한 상량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상량문은 일반 한옥인 경우 대청마루에서 쳐다보면 종도리 아랫면에 간단히 기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규모 있는 건축물인 경우 대.. 집짓기 2012.05.15
산골일기: 전원주택 산골일기: 전원주택 조회 1396 --> http://blog.chosun.com/ss8000/6370337 누군가는 그런다. 집 한 채 지으려면 10년은 늙는다고. 천등산 자락에 아담한 전원주택 하나 짓겠다고 첫 삽을 뜬 게 지난 12월12일(이날과는 무슨 연이 있나 보다. 인위적으로 만든 게 아니라 건축업자가 이날이 무슨 날인지도 .. 집짓기 2012.05.07
교감이 일어나는 마법 같은 안뜰 - 김정희 선생 고택 다시 찾은 옛집, 반가운 격조 생의 마지막 순간, 파노라마처럼 스치는 장면들 중에 꼭 다시 보게 될 것 같은 장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웅현 씨는 몇 해 전 이곳을 찾았던 날을 잊지 못한다. 다시 찾은 김정희선생고택은 나른한 봄기운 속에 아침녘에 들린 손님을 맞아들였다. 김정희선생고택(충청.. 집짓기 2011.05.31
전통 건축 색채를 통해서 보는 어울림의 가치와 의미 자연의 질서와 인간 존중의 가치를 담고 있는 색채의 세계 서양에서 20세기 데 스틸 운동의 영향을 받아 건축된 대표적인 주택으로 리트벨트의 슈뢰더 주택을 떠올릴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아는 것처럼 데 스틸 운동의 주요 특징으로 원색의 사용을 꼽을 수 있다. 데 스틸 운동에서 원색이 사용된 이.. 집짓기 201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