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寒食)의 유래 한식(寒食)의 유래 매월 4월5일 쯤 이면 24절기의 하나인 청명과 한식날이 돌아온다. 날씨가 맑고 밝다는 청명은 24절기 중에 춘분(春分)과 곡우(穀雨)사이에 있으며 맑은 동남풍 바람이 불어오는 때이며, 같은 날이나 다음날에 한식날이 되는데 한식寒食이란 말이 생겨나게 된 얘기가 전하여 온다. 중국.. 안동, 안동 문화 2009.04.02
꿈결처럼 은은한 빛깔을 간직한 사찰, 봉정사 대웅전 꿈결처럼 은은한 빛깔을 간직한 사찰, 봉정사 대웅전 김경리 나는 몇 달이 지난 지금까지도 홀로 떠났던 그 답사의 여정을 잊을 수가 없다. 혼자 떠나보는 답사는 처음이었기에 특별히 기억에 남은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오래도록 머무르며 바라본 그 곳의 정경들이 마치 그리운 시골집을 떠올릴 때.. 안동, 안동 문화 2009.03.17
대한민국 정신 문화의 수도, 안동 대한민국 정신 문화의 수도, 안동 물줄기 안동은 큰 산과 큰 물이 처음 만나는 곳이다. 태백산과 함백산에서 발원된 낙동의 원줄기와 일월산과 주왕산에서 발원된 물줄기가 안동 땅에서 만나 위세가 강해지고 위세가 강해진 만큼 많은 양의 퇴적물을 싣고 내려와 지금의 안동, 풍천, 예천, 문경 지방의.. 안동, 안동 문화 2009.03.17
전통문화 전승의 현장, 고택에서 만나는 살아있는 제례와 음식문화 전통문화 전승의 현장, 고택에서 만나는 살아있는 제례와 음식문화 종가는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에 뿌리내리고 있는 유교문화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역사 속 굵직한 획을 그었던 명문 종갓집들의 제례문화와 특색 있는 음식문화를 통해 선조들의 간소하지만 정성된 마음을 느껴본다. 제례.. 안동, 안동 문화 2009.01.15
낙동강과 함께 그 자리를 지켜낸 신세동 칠층전탑 낙동강과 함께 그 자리를 지켜낸 신세동 칠층전탑 안선우 초봄이었지만 예년보다 훨씬 더웠던 주말, 나는 친구와 함께 안동의 전탑들을 보려고 버스에 올랐다. 학위논문에 필요한 전탑을 조사하고 사진을 찍기 위해 나선 길이었다. 마침 하늘이 파랗고 깨끗해서 내가 주문만 외우면 이대로 훌쩍 전탑 .. 안동, 안동 문화 2008.11.18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안동 하회마을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안동 하회마을 하회(河回), 말 그대로 '물이 돌아간다'는 뜻으로 낙동강 줄기가 마을을 휘감고 S자로 흐르며, 산들이 병풍처럼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물도리동이라고도 불리는 하회마을은 연화부수형으로 마치 연꽃이 물 위에서 꽃을 피운 듯한 형상이다.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 안동, 안동 문화 2008.10.31
명문가에서 배우는 자녀교육 ‘아버지의 귀환’ 명문가에서 배우는 자녀교육 ‘아버지의 귀환’ 대한민국 대표 가문들의 탁월한 교육법을 소개한다. 인맥네트워크를 중시하고, 4백 년 전부터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천했던 이황의 교육법, ‘지고 밑져라’는 희생과 손해도 볼 줄 알아야 한다는 아량을 가르친 이함 등 위대한 인물들이 직접.. 안동, 안동 문화 2008.09.17
1. 추석의 어원 1. 추석의 어원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한가위의 한은 '하다(大·正)'의 관형사형이고, 가위란 '가배(嘉俳)'를 의미한다. 이때 가배란 '가부·가뷔'의 음역(音譯)으로서 '가운데'란 뜻인데, 지금도 신라의 고토(故土)인 영남 지방.. 안동, 안동 문화 2008.09.12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휘영청 보름달이 유난히 밝아서 달[월=月]의 명절로 불리는 추석은 신라인들이 즐겼던 명절이다. 추석의 우리식 이름은 한가위, 가위, 가배嘉俳, 가배일이다. 그밖에 한자어로 중추仲秋, 또는 中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한다. 이는 가을의 한가운.. 안동, 안동 문화 2008.09.08
한국 음식학의 기초를 놓은 정부인貞夫人. 안동 장씨 한국 음식학의 기초를 놓은 정부인貞夫人. 안동 장씨 조선시대 각각의 음식에 대한 조리과정과 음식을 종류별로 체계화시켜 펴내 장씨는 330년 전 우리나라는 물론 동아시아 최초의 요리책 저자이다. 안동 양반집 정부인의 삶 속에서 요리는 어떠한 가치였을까. 그녀를 통해 조선시대 식생활문화와 여.. 안동, 안동 문화 2008.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