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일곱가지 거짓 한미FTA, 일곱가지 거짓 김성훈 | 상지대 총장, 경실련 공동대표 노무현정부가 지난해 1월 18일 대통령 연두기자회견을 계기로 허겁지겁 추진하고 있는 한미FTA 협상은 보통사람들의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는 이상야릇함(不可思議)투성이다. 무엇보다도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당국자들이 언행을 자주 바..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1.18
책 읽기 예찬 [옛글의숨결] 책 어느 맑은 밤 편안히 앉아 등불을 은은히 하고 차를 끓인다. 세상은 온통 고요한데 시냇물 소리만 졸졸졸 들려와 이부자리도 펴지 않은 채 건듯 책을 읽어본다. 이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다. 비바람 몰아치는 날 빗장 걸고 방을 치우고선 눈 앞에 가득한 책을 흥 나는 대로 꺼내서 본다.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1.17
어디에도 사람의 길이 없네 어디에도 사람의 길이 없네 친구여. 천리길을 걸었네. 하루도 빠짐없이 길을 걸었건만 기계의 길, 자동차의 길이 있었을 뿐 사람의 길이 없었네. 길에 서있는 한 길의 주인은 사람이 아니고 자동차이었네. 혹여 사람이 있을지라도 사람을 배려한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가 없네. 결코 과장된 이야기가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1.12
“아는 것이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옛글의 숨결] 좋아한다는 것 어떤 일이 어렵다고 하는 것은 모두 하지 않는 것이지,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재능과 분수는 본래 한량(限量)이 있으나 즐겨하는 마음으로 지향(指向)하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고, 게으른 마음으로 지향하면 허물어지지 않는 일이 없다. 일을 기뻐하는 사람은 즐..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1.09
싸우지 않고 이기는 힘 - 따뜻한 카리스마 ♣ 싸우지 않고 이기는 힘- 따뜻한 카리스마 / 이종선 ♣ 1. 자기 표현력 나를 먼저 개방하자. 자신을 먼저 개방하는 것이 다른 이들을 받아 들이는 길이다. 2.공감 능력 다른사람과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려면 상대방을 배려 할 줄 알아야 한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3.신뢰 모든 일에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1.04
수우구족의 기도 기도 바람 속에 당신의 목소리가 있고 당신의 숨결이 세상 만물에게 생명을 줍니다. 나는 당신의 아이 중 가장 작고 힘없는 아이입니다. 내게 당신의 힘과 지혜를주소서 나로 하여금 아름다움 안에서 걷게 하시고 내 두눈이 오랫 동안 석양을 바라 볼수 있게하소서 당신이 만든 물건을 내 손이 존중케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6.12.22
북녘 도서에 나오는 백제와 신라 이야기 북녘의 “조선력사” 교과서 이야기 ④ 오늘은 북녘의‘조선력사’ 교과서에 나오는 백제와 신라 이야기를 해보자. 환인에 있었던 구려에 들어가 그 관내에 있는 졸본의 귀족 소서노의 도움으로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 즉 동명왕은 구려 왕의 딸과 결혼하여 ‘비류’와 ‘온조’ 두 아들을 낳았다.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6.12.20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야생초 편지 사람을 생긴 그대로 사랑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평화는 상대방이 내 뜻대로 되어지길 바라는 마음을 그만둘 때이며 행복은 그러한 마음이 위로 받을 때이며 기쁨은 비워진 두 마음이 부딪힐 때이다. -황대권, 야생초 편지- ※ 아침고요수목.. 다시 읽고 싶은 글 2006.12.19
가지 않은 길 -로버트 프로스트 가지 않은 길 가지 않은 길 시 : 프로스트 / 번역 : 피천득 / 낭송 : 자작나무 노란 숲 속에 길이 두 갈래로 났었습니다. 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여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바라다 보았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아름다.. 다시 읽고 싶은 글 2006.12.07
간디와 체 게바라를 생각한다! 간디와 체 게바라 해남순례길에서 있었던 일이다. 며칠전 사회운동을 하는 친구들과 자리를 함께 했다. 생명평화를 이야기하며 생명위기, 삶의 황폐화를 낳게 한 현대문명의 자기모순을 극복하고 넘어서기 위한 근원적 성찰과 모색이 절실함을 강조했다. 그 과정에서 오늘 우리들은 진리실현의 삶으.. 다시 읽고 싶은 글 2006.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