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깊은 나무 생각이 깊은 나무 처음으로 쇠가 만들어졌을 때 세상의 모든 나무들이 두려움에 떨었다. 그러나 어느 생각 깊은 나무가 말했다. "두려워할 것 없다. 우리들이 자루가 되어주지 않는 한 쇠는 결코 우리를 해칠 수 없는 법이다." - 신영복의《나무야 나무야》중에서 - * 쇠가 아무리 강해도 나무자루가 없..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3.15
달 전화기 - 레벤 레벤의 시, 달 전화기 Link One --> Link Two --> 파일 , 0 :download --> --> ** 편집자주 ** 지난 2005년 레벤이 강제출국을 당하기 전에 한국에서 쓴 마지막 시 입니다. 레벤은 2000년대 노동자 시인으로, 우리에게 80년대 ‘노동의 새벽’의 첫 마음을 되새기게 했습니다. 그런 그를 받아들이지 못한 한국의 이주노동..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3.15
지율 스님의 산막 일지 소나무 숲 내리막 언덕길에서 경운기에 두엄을 가득 싣고 내려가시는 옥이 할아버지를 만났습니다. 겨우내 삭혀 두었던 외양간의 분뇨를 논에 넣으러 가시는 길입니다. ▼ 사진을 클릭하시면 영상속으로 들어 갑니다. 옥이 할아버지께서는 평소 세상사를 참으로 긍정적으로 말씀하시며 언제나 남의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3.13
생명 있는 곳에 혼돈이 있다! 생명 있는 곳에 혼돈이 있다 우리는 지형, 생물의 형태, 문화, 앎의 방법, 표현 양식의 다양성을 소중히 여기고 장려해야 한다. 다윈이 밝혔듯이 유기체는 다양성을 통해 영구히 변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진화해왔다. 이와 마찬가지로 문화적 다양성은 인간이 존재하기 위한 필..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3.13
질투는 나의 힘 - 기형도 질투는 나의 힘 기형도 아주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힘없는 책갈피는 이 종이를 떨어뜨리리. 그때 내 마음은 너무나 많은 공장을 세웠으니 어리석게도 그토록 기록할 것이 많았구나. 구름 밑을 천천히 쏘다니는 개처럼 지칠줄 모르고 공중에서 머뭇거렸구나. 나 가진 것 탄식밖에 없어 저녁 거리마다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2.21
성공하는 사람들의 15가지 공통점 (김범준님으로부터) 성공하는 사람들의 15가지 공통점 http://blog.daum.net/bjkim1101/8617817 자기 일에 성공적인 사람들의 15가지 공통점입니다. 1.현실 중심적이다 (reality-centered) 거��, 가짜, 사기, 허위, 부정직 등을 진실로부터 구별하는 능력이 있다. 2.문제 해결 능력이 강하다 (problem-centered) 어려움으로부터 도망가려 하지 않..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2.09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려면.....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려면..... 첫째 마음의 문을 활짝 열어라. 남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이해하려는 태도를 갖어라. 그 게 사랑이다. 사랑하면 인정하게 된다. 나와 다른 타인을 그 모습 그 대로 인정하려는 자세가 열린 마음이다. 나와 다른 것은 모두 틀린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나..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2.09
♤ 일곱가지 삶의 지혜 ♤ ♤ 일곱가지 삶의 지혜 ♤ 1. 내면에 잠든 힘을 깨워라 - 순수잠재력의 법칙 (The Law of Pure Potentiality) 자신의 본성에 대한 깨달음 속에 이미 모든 꿈들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2. 아낌없이 주라 - 베품의 법칙(The Law of Giving) 주면 주는 만큼 더 많이 받을 것입니다. 실제로 삶에서 가치 있는 것들은..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2.09
지혜로운 사람은 어느 때나 분노하지 않는다 지혜로운 사람은 어느 때나 분노하지 않는다 참기 어려움을 참는 것이 진실한 참음이요, 누구나 참을 수 있는 것은 일상의 참음이다. 자기보다 약한 이의 허물을 기꺼이 용서하고, 부귀와 영화속에서 겸손하고 절제하라. 참을 수 없는 것을 참은 것이 수행의 덕이니 원망을 원망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2.01
아무도 이 경쟁에서 승리자가 될 수 없다! 아무도 이 경쟁에서 승리자가 될 수 없다 - 임용고사에 대한 한 교대생의 생각- 교대에 입학하고 나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가 '네가 정말 원해서 교대에 들어왔느냐'는 것이었다. 요즘 들어 다른 직업에 비해 안정적이고 여유로운 점에 끌려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많아진 상황에서 아마도 .. 다시 읽고 싶은 글 2007.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