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의 숨결] 좋아한다는 것 |
어떤 일이 어렵다고 하는 것은 모두 하지 않는 것이지,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재능과 분수는 본래 한량(限量)이 있으나 즐겨하는 마음으로 지향(指向)하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고, 게으른 마음으로 지향하면 허물어지지 않는 일이 없다. 일을 기뻐하는 사람은 즐겨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쉽다고 느끼지만, 일을 싫어하는 사람은 게으른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어렵다고 느낀다.
-정조(1752~1800)의 ‘일득록’(日得錄)에서(민족문화추진회 ‘국역 홍재전서’)
![]() |
![]() |
‘논어’에는 공자의 일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여러 곳에 드러나는데, 한 예를 술이편에서 찾을 수 있다. “부귀를 구할 수 있다면 비록 채찍을 잡고 말몰이를 하는 비천한 일이라도 내가 할 수 있겠으나, 부귀를 구할 수 없다면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겠다”. 이 말은 부귀는 억지로 구한다고 해서 얻어질 수 없는 것이 아니니 스스로 좋아하는 일을 하는게 낫다는 뜻이다. 어떤 일을 ‘좋아한다’는 사실은 ‘일을 하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그것은 엔돌핀을 뿜어내게 하며, 숨어있는 1인치를 찾아내게 하며, 잠재되어 있는 초능력을 발휘하게 한다. 그래서 공자는 다시 말한다. “아는 것이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라고. 새해 설계를 마쳤다면, 이제부터는 일을 좋아서 그리고 즐겨서 할 일이다. 공자나 정조 임금의 말마따나 ‘즐겨하는 마음으로 일을 하면 못할 일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조운찬/경향신문 문화부장〉 |
'다시 읽고 싶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읽기 예찬 (0) | 2007.01.17 |
---|---|
어디에도 사람의 길이 없네 (0) | 2007.01.12 |
싸우지 않고 이기는 힘 - 따뜻한 카리스마 (0) | 2007.01.04 |
수우구족의 기도 (0) | 2006.12.22 |
북녘 도서에 나오는 백제와 신라 이야기 (0) | 2006.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