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수는 그 토양과 기후에 잘 맞으며
온도변화, 병충해 등에 강하고 보기에 아름다워야 한다.
특히 정원수는 단순히 푸르름만 보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잎의 색깔, 가지모양, 열매의 색과 모양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나무마다 특성을 따져 철따라 독특한 아름다움을 즐길수 있도록 한다.
수형의 특성에 따라
수형이 아름다운 나무 --- 주목, 향나무, 소나무, 반송, 섬잣나무, 느티나무, 때죽나무
그늘이 좋은 나무 --- 느티나무, 목련, 벚나무류, 은행나무, 회화나무, 팽나무, 계수나무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 --- 은행나무, 단풍나무류, 복자기, 마가목, 감나무, 느티나무
꽃이 아름다운 나무 --- 매화나무, 산수유, 이팝나무, 살구나무, 철쭉류, 산딸나무, 벚나무
자귀나무, 배롱나무, 노각나무, 때죽나무, 명자나무, 박태기, 수국류
과일이 좋은 나무 --- 모과나무, 대추나무, 사과나무, 살구나무, 블루베리, 앵두나무, 감나무
울타리로 적합한 나무 --- 쥐똥나무, 사철나무, 회양목, 주목, 철쭉류, 조팝나무, 화살나무
주택가 정원수종
느티나무, 팽나무, 오동나무, 배롱나무, 밤나무, 목련, 벚나무류, 서어나무, 칠엽수, 감나무
회화나무, 때죽나무, 층층나무, 자두나무, 매화나무, 박태기나무, 소나무, 모과나무 |
나무는 계절별로 꽃이 피고 지는 시기, 열매를 맺고 낙엽이 지는 시기가 다르다.
사계절 내내 다양한 표정의 정원을 가꾸기 위해서는 철마다 변하는 나무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겨울을 제외한 계절에는 화사한 꽃과 열매를 볼 수 있도록
개화시기가 다른 나무들을 혼식하고 상록수와 낙엽수를 변화있게 혼식해
식재하여야 사계절 다양한 표정의 정원을 만들 수 있다.
계절에 따라
봄 --- 3월에 꽃망울을 터트리는 산수유, 매화, 풍년화에 이어 벚나무, 목련, 진달래, 개나리
철쭉, 박태기 등이 꽃을 피운다.
여름 --- 산딸나무, 나무수국 등이 좋으며 산딸나무 열매를 먹이로 새들을 유도할 수 있다.
꽃이 아름다운 배롱나무, 때죽나무, 자귀나무, 노각나무 등이 있다.
가을 --- 잎의 단풍을 주된 관상 포인트로 하는 단풍나무, 화살나무, 작살나무, 느티나무, 복자기
산딸나무, 은행나무 등과 열매가 좋은 모과, 감, 대추나무 등이 있다.
겨울 --- 대부분 낙엽관목들은 잎이 다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록성인 소나무, 주목, 향나무류
등이 좋다. |
* 우리집 정원의 정원수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6364334F4C9A660E)
정원수를 고를 때 크기가 너무 커서 다른 나무의 생장을 방해하는 나무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좁은 현관이나 정원 한쪽 구석 등에는 낮게 자라는 나무가 적당하다.
느티나무와 같이 크게 자라는 나무는 넓은 정원에는 괜찮으나 집 가까이 심는 것은 피해야 한다.
햇볕이 6시간 이상 드는 양지볕에는 소나무, 향나무와 같은 송백류와 배롱나무, 매화나무 등 화목류
그리고 모과, 감나무 등 유실수를 주로 심고, 그늘이 진 곳에는 주목, 진달래, 사철나무 등을 심는다.
수목에 따른 지피식물 궁합맞추기
상록수 아래 --- 비비추류, 벌개미취, 붓꽃, 맥문동
낙엽활엽수 아래 --- 앵초 금낭화, 은방울꽃, 꽃무릇, 상사화, 천남성
늪지대 및 연못 --- 수련, 연, 부들, 꽃창포, 택사, 골풀, 개구리밥
돌틈 사이 --- 층꽃, 기린초, 매발톱꽃, 돌단풍, 앵초, 할미꽃, 하늘나리, 비비추, 감국, 민들레
햇볕이 잘드는 곳 --- 할미꽃, 민들레, 패랭이꽃, 용머리, 양지꽃, 층꽃, 섬초롱꽃, 기린초 |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한번의 추천은 우리의 마음을 풍요롭게 한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