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짓기

남아있는 조선시대 별서정원 성락원

이산저산구름 2010. 4. 27. 11:03

 

 

        남아있는 조선시대 별서정원 성락원

                                               
                    정 성 원






 <성락원의 배치도로 살펴보는 공간구조. 쌍류동천, 용두가산으로 이루어진 진입공간과 본제, 누각, 영벽지의 본원. 송석정, 연지로 이루어진 심원의 3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별서는 저택에서 떨어진 인접한 경승지에서 은둔과 은일 또는 자연과의 관계를 즐기기 위해 조성된 제2의 주택입니다. 현대의 별장, 별채와 유사한 의미로 대표적인 유적지에는 담양의 소쇄원과 보길도 부용동원림등이 있습니다. 제가 소개할 성락원(城樂園)은 명승(제 35호)으로 지정된 서울에 남아있는 유일한 조선시대 별서정원입니다. 조선말기 성락원이 위치한 성북동은 계곡이 깊고 수석이 맑음은 물론 도성에서도 가까워 옛 선비들이 자주 찾아 휴식하고 수양하던 공간이었습니다. 옛 문헌과 그림 속에서 한양도성 주변에 정원유적의 관한 기록들을 많이 찾아 볼 수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 소실되어 남아있는 문화재가 희소합니다. 성락원은 흥선대원군이 거주했던 인근 부암동에 위치한 석파정(石坡亭)과 함께 서울에 남아있는 대표적인 정원유적으로 ‘城樂園’ 이란 정원의 명칭을 통해 성 밖의 자연의 즐거움을 느끼려 했던 상징적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천천히 성락원을 들여다볼까요?



  성락원의 진입공간. 마치 자연속에 들어 온 듯한 느낌을 준다


    
원을 흐르는 계류와 쌍류동천(雙流洞天)이 새겨진 암반
 

 성락원은 철종때 이조판서를 자낸 심상응의 별장으로 조성되었습니다. 후에 고종의 아들인 이강 공이 35년간 별궁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성락원은 낙산을 주산으로 동쪽과 서쪽에서 흐르는 계류가 입구로 흐르면서 합쳐진 쌍류동천을 기본 축으로 공간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조성된 성락원은 크게 진입공간, 본원, 심원의 3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름다운 계곡과 경관을 살리기 위해 곡선 위주의 동선체계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진입부의 쌍류동천과 아름드리나무들이 심어져 있는 용두가산을 지나면 ‘ㄱ’ 자형 한옥등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정원의 진수를 보여주는 영벽지가 본재 앞쪽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계류를 자연스럽게 자연암반위에 고이게 한 영벽지는 물과 돌이 만들어 내는 조화로움과 주위를 감싸는 수목들과 어우러진 경치는 이곳이 서울이라는 사실을 까맣게 잊게 해줍니다. 마지막 심원공간으로 송석정(松石亭) 이란 정자가 연지와 함께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연회장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평온한 경관이 주변을 감싸고 있습니다. 2007년 군대를 제대하고 틈틈이 모은 돈으로 배낭하나 짊어지고 3개월여 동안 여행을 다닌 적이 있습니다. 중국의 자금성과 대표적인 정원유적인 졸정원을 방문했을 때가 떠오릅니다. 마주하는 순간 탄성이 터질 만큼 엄청난 크기에 압도되었습니다. 배를 타고 다닐 만큼 큰 호수와 작은 산을 옮겨 놓은 듯 한 기이한 돌들은 마치 자연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았지만 자연을 닮은 인공이었습니다. 작년 여름 다녀온 교토의 ‘용안사’ 는 일본을 대표하는 정원유적이다. 잔잔한 물결처럼 표현한 모래위로 15개의 돌이 기하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마치 자연을 축소해 놓은 듯 한 느낌을 받았다. 이들 정원에 비해 성락원에서 받은 느낌은 마치 자연 속에 있는 듯 한 착각을 불러 일으켰다. 낙산의 지세를 그대로 이어 받아 성락원의 지형은 입구로 내려올수록 완만한 경사가 져 있다. 성락원 주변으로는 느티나무, 소나무, 참나무등을 비롯해 크고 작은 나무들이 주위를 감싸고 있어 고요한 숲속에 온 듯하다.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내려 성북동을 빽빽하게 수놓은 나지막한 건물들 사이를 지나 나타난 성락원은 현재 개인주택으로 소유하고 있는 만 여느 주택과는 달리 집이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닌 자연의 품 안에 건물들이 그대로 들어 앉아 있었다. 정문을 지나 들어서는 순간 큰 규모의 정원은 아니지만 깊이감이 있어 공간적으로 포근함과 아늑함을 안겨주었다. 이곳은 하나하나 따져 보기보고 산책하기 보다는 자신이 마음에 드는 한 지점을 찾아 그곳에서 편안히 눈을 감고 생각에 잠기기에 안성맞춤인 공간이었다.

 

‘성락원의 가을’ 를 기억하다.

 

 처음 이곳을 답사했던 2004년 가을 성락원의 모습은 아직도 생생하다. 이후로 가을이 되면 여러 지역의 답사를 다녀왔지만, 영벽지 주변을 빨갛게 물들이던 단풍나무들과 노랗고 붉게 물든 ‘성락원의 가을’ 보다 아름다운 감동을 전해주었던 풍경은 없었습니다. 아직도 가을이면 한 번씩 머리를 스치곤 합니다. 서울에서 수많은 박스형 빌딩들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가운데 100여년 이란 시간동안 성북동의 고즈넉한 분위기 함께 어우러진 성락원은 자연 속에 있는 듯 한 착각을 불러일으킵니다. 차분한 한옥건물들과 자연암반을 따라 흐르는 계류, 주변 수목과 어우러진 연못 등의 운치 있는 풍경은 번잡한 서울 도심을 헤매다 발견한 오아시스와 같은 느낌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성락원은 사유지로 현재 관람 및 개방이 제한되어 있으며 그 원형의 경관과 모습이 변형되어 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연한 기회에 방문한 2009년 7월 14일 여름의 성락원은 영벽지 주변을 수놓던 붉은 단풍들은 모두 사라졌고 진입공간 쌍류동천의 자연암반의 계류는 석축으로 변형되었습니다. 성락원은 조선시대 도성주변의 별서정원의 모습을 간직한 유일무이한 정원유적 입니다. 역사적,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후대에까지 보존 되어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오랫만에 다시 찾은 성락원에서 2004년 11월 저의 가슴을 뛰게하던 '성락원의 가을' 의 모습은 희미해져 있었습니다. 복원공사가 진행되고 있던 탓도 있겠지만 소박하면서 운치있던 옛 정취는 화려하고 세련된 모습으로 단장되어 있어 조금은 울적해진 마음으로 집으로 돌아 왔습니다.

 

 문화재는 공공적 성격을 가지는 국민적 자산이자 역사적 징표입니다. 이는 현시대에 사는 사람들의 권리이자 후세대인 들의 권리이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문화재는 한번 멸실되면 다시는 회복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화재의 보존과 보호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재 수리원칙’에 명시된 구절들이 스쳐지나갑니다. 문화재는 원형유지를 원칙으로 하되 그 시대의 기법과 양식을 따르고 원형경관 또한 보존해야한다...

 

아직도 가슴 한편에 남아있는 ‘성락원의 가을’ 을 10년 뒤 제 아이와 함께 다시 볼 수 있기를 희망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