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물이 풍요로운 그저 한가위만 같아라~ |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 또는 가위, 한가위 날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한’이라는 말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로, 즉 8월 15일인 한가위는 8월의 한 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한자로는 가배嘉俳라고도 하는데, 옛날부터 추석은 설과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명절 중 하나로 대단히 큰 명절이었지만 요즘에 들어서는 저마다 바쁜 생활을 하는 관계로 옛날보다는 그 모습이 많이 퇴색해버려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추석 때가 되면 무덥던 긴 더위도 물러가고 서늘한 기운이 도는 가을철로 접어든 때이므로, 넓은 들판에는 오곡백과가 무르익어 보기만 하여도 저절로 배가 부른 느낌이 들며 행복감에 휩싸인다. 추석날 아침이 되면 그동안 장만하여 두었던 새 옷으로 갈아입고, 햇곡식으로 만든 술과 햅쌀 떡에 햅쌀밥을 지어 조상님께 제사를 지내며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한 후, 마을사람들은 한 곳에 모여 즐거운 놀이를 하면서 신나게 하루를 보냈다. 이 때 왕녀 한 분은 감독이 되어 한 달 동안의 성적을 종합해 8월 보름인 추석날에 그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진 편은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진 편과 이긴 편 구분 없이 함께 먹고 마시며 흥을 돋우어 노래를 부르고 춤도 춰가며 진정으로 추석을 즐겼다. 그뿐 아니라 이 날이 되면 남녀노소는 물론, 특히 왕녀나 귀족 그리고 궁녀들도 예쁘게 옷을 차려 입고 하루를 마음껏 노는 풍습을 만들었다.
추석날 음식으로는 송편, 토란국과 갖은 나물을 비롯해 형형색색의 여러 과일을 많이 먹었는데, 추석날 아침에 햅쌀로 빚은 송편과 햅쌀밥, 햇과일을 가지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낸 후 가족들과 함께 음식을 나누었다.
또한 추석에 먹는 국으로는 시원하게 끓인 ‘토란국’이 제격인데, 서울과 경기 지방의 대표적인 추석 별미가 토란국이었다. 알칼리성 식품인 토란에는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떡이나 고기를 많이 먹어 배탈이 나기 쉬운 추석에 토란국을 끓여 먹음으로써 이를 슬기롭게 극복했던 것이다. 추석날 아침에 지내는 ‘차례’는 지방마다 혹은 집안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추석날이 되면 햇곡식으로 밥과 떡, 술을 만들고 햇과일 등으로 차례 음식을 준비하는 것은 별반 크게 다르지 않았다. 차례의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이들은 추석날 이른 아침에 사당을 모시고 있는 종가宗家에 모여 고조高祖까지의 차례를 지내고 그 위부터는 시제로 대신하는 형식을 따랐다.
다음으로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강강술래 놀이’가 있다. 이 놀이는 목포 등 호남지방과 남해 그리고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행하던 놀이로, 추석 날 밤부터 시작해 3일째 되는 저녁 때까지 즐기던 여인들의 놀이였다. 밝은 달빛 아래서 벌이는 이 놀이는 손에 손을 잡고 원을 만들어 빙빙 돌아가며 흥겹게 춤을 추며 노는데, 선소리와 후렴으로 노랫말과 박자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도 ‘반보기 놀이’라는 풍습이 있다. 이 행사는 그 시대 며느리의 한이 서린 대단히 가슴 아픈 추억이 깃들어 있다. 친정어머니와 시집간 딸, 그들은 서로의 소식을 알고 싶었으나 엄한 시집살이 탓에 친정을 찾아가는 것도 친정 부모님의 안부를 묻는 것도 도저히 불가능했다. 그리하여 어쩔 수 없이 반보기를 행했던 것이다. 반보기 놀이란, 친정어머니와 시집간 딸이 중간 지점의 놀기 좋은 장소에서 만나 그동안의 그리움을 마음껏 풀고 가지고 온 음식을 나누어 먹은 후 해가 서산으로 넘어갈 때가 되면 아쉬움을 남기고 다시 각자의 집으로 되돌아가는 풍습이었다.
|
'다시 읽고 싶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금니 하나 (0) | 2007.10.16 |
---|---|
누구나 자기가 필요한 만큼만 가져야 한다 (0) | 2007.10.15 |
그 벽을 뛰어넘을 자신이 있는가 (0) | 2007.09.05 |
겸손이란 (0) | 2007.08.11 |
있는 그대로가 좋다 (0) | 2007.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