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과 유래)
Money(돈) & Mint(조폐소)
Money 라는 단어와 Mint 라는 단어는 그 어원이 같다. Money 라는 단어는 Moneta (Juno Moneta) 라는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Juno라는 여신(女神)은, Roman mythology (로마 신화)에 나오는 여신으로, Jupiter神의 아내이면서 또한 천국을 다스리는 여왕이었는데... 그 Juno가 하는 일 中에, 로마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려주는 일도 들어있었다. 그래서... 344 BCE에 있었던 Gallic invasion (프랑스 침공)을, 로마인들에게, 미리 경고하여 주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그 점을 아주 고맙게 생각한 Lucius Furius가 그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Capitoline Hill 위에다, 성전(Temple)을 지어서 Juno 여신에게 바치게 되었는데... 그 때, 그 성전의 이름이, 바로 Juno Moneta 였다. [Moneta 라는 것은, 라틴語 Moneo (경고)라는 뜻에서 따온 것이다.]
그 후에, 로마 제국에서 Mint (주조소, 조폐소)를, 바로, 그 성전- Juno Moneta- 옆에다 짓게 되면서... 그 곳에서 만들어진 동전을 Moneta 라고 부르게 되었고, 그 Juno Moneta가 재정의 보호신(神)으로 되게 되었다.
동전의 이름인, 이 Moneta라는 단어가, 프랑스로 들어가서, 프랑스어의 Moneai로 되었는데... 이 프랑스 단어가 영어로 들어와서 Money 로 된 것이다. [프랑스어는 Latin어와 아주 가까운 언어로, 프랑스어의 어원이 Latin이다.]
마찬가지로... Mint (鑄造所, 조폐소) 라는 단어도, Moneta에서 유래된 단어인데... Moneta à Mynot àMint 로 변형된 것이다.
Mint 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영어 표현으로는... a mint of money (거액의 돈), a mint of money trouble (엄청난 고생), in mint state(condition) [(화폐, 우표 따위가) 막 발행된, 아직 쓰지 않은 상태라는 의미.] 등등이 있다.
-------------
Mint 라는 단어에는, 조폐소라는 뜻 외에 ‘박하’ 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는데... 이 경우의 Mint는, Greek nymph(그리스 요정) Minthe 에서 나온 말이다. [지하 세계의 神인 Pluto의 부인이 Proserpine 이었는데... 이 여자가 질투심을 느껴서, Minthe 요정을, mint 라는 풀로 만들어 놓았다고 전해진다.]
[신화에 등장하는 妖精(요정)을 흔히 Nymph 라고 하는데... 산, 강, 숲속에 살고 있는 半神半人(반신반인)의 소녀다.]
박하 식물로 알려져 있는 Mint는, 일찌기, 성욕제 처럼 취급이 되어서... 하다못해, Aristotle 조차도 알렉산더 대왕의 군대가 그 풀을 씹는 것을 금지시켜 놓기까지 하였으니... 그 이유는 그 Mint 풀이 성욕을 발동시켜서 전투력을 떨어지게 할 것이라는 이유에서 였다.
이 박하(Mint)가 들어가 있는 표현에는, Pay tithe of mint and anise and cumin. (작은 일에 구애되어 큰일을 소홀히 하다.) Tithe mint and cummin.(사소한 의식에 구애되어 큰일을 잊어 버리다.) 가 있다. [Cumin- cummin은 이짚트산 향료식물, anise도 식물이름으로 dill 이라고도 하는데... Cumin 이나 anise나 모두다 향료로 쓰이는 식물이다.]
--------------------
지폐를 영어에서는... Bill, Paper money, (bank) note, green back (미국돈의 뒷면이 초록색이라는 이유에서 나온 말), Cash(현금), Check (수표), Pocket money (용돈, allowance) 이라고 하고,
금속 화폐는... Coin 이라고 하는데... Gold, Silver, Copper(동전), Quarter(25센트), Dime(10센트), Nickel (5센트), Penny (1 센트) 등등이 있다.
이 기회에, Money 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영어 표현을 몇가지 소개하여 볼까?
Cheap at the money. (그 값으로는 싸다.) He is not everybody’s money. (그는 어디에 가든지 통한다 (환영 받는다) 고는 할 수 없다.) Throw good money after bad. (손해를 만회하려다가 더 손해를 본다.) There is money in it. (그것은 돈벌이가 된다.) __________________
Dollar & $
Dollar 라는 단어의 어원은 성인(Saint)과 관계가 있다. 그 성인이 St. Joachim (father of Mary, 마리아의 아버지)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렇다.
Bohemia 에는 Sankt Joachimsthal 이라는 조그마한 광산村(촌)이 있는데... 그 지명 Sankt(Saint) Joachimsthal이라는 이름은, ‘Saint + Joachim+ valley (성 요아킴의 계곡)’이라는 뜻으로, 그 사람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 광산에서 나온 은으로, 은화(Silver coin)를 만들게 되었는데, 그 동전에는 St. Joachim 의 얼굴이 들어가 있었고, 그 동전을 Joachimsthalers 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 길다란 이름을 줄여서 짧게 Thalers 라고 쓰면서, Dahlers라고 발음을 하게 되었고, 이 발음이 독일을 거쳐 영국으로 들어가서 Dallers로 되었다가, 17세기 말경 부터 철자가 Dollars 로 쓰여지면서, 뜻은 ‘외국의 동전’ 또는 Spain 돈으로 쓰여지게 되었다.
그 후, 미국이 영국으로 부터 독립을 하게 되었고, 1785년도에, 새로운 미국 화폐제도를 만들어 놓으면서, 미국 돈의 단위를 Dollar로 정하게 된 것이다.
[참고로... 미국에서 1 dollar 짜리 은화가 만들어진 것은 1792년이었고, 종이돈인 Greenback dollars 가 제조된 것은 Civil War (남북전쟁) 때였다.]
Dollar sign: $ (달라 표시)
흔히들 $ 표시는, Spanish 8 이라는 숫자에서 나온 것 같다고 하기도 하고, Spanish Ps (peso)가 변조되어 그렇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하지만... 그것 보다는, 두리마리 문서의 귀퉁이에 찍어 놓는 표시, 즉, “Pillars of Hercules (헤라클레스의 기둥)” 표시를, 개조하여 만들어 놓게 된 것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
아무튼, George Washington 이 Potomac 江(강)이나 Delaware 江(강)을 건널 때에, 은화를 강물 속으로 던졌다고 전해져 오고 있는데... 그가 그 때에 던진 은화는, 미국 은화가 아닌 외국의 은화가 틀림없다. 왜냐하면... 그 당시까지도 미국에서는 그 어떠한 은화도 제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Sang Bong Lee, Ph. D Dr. Lee’s Lessons: Discovering Your Nature. All rights reserved 2014 |